- 스프링프로젝트 쉽게 생성해주는 https://start.spring.io/ 로 접속하여 아래와 같이 세팅하고 Generate 클릭
** Jsp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war로 패키징을 선택
보통 jar 사용시에는 내장 톰캣(스프링부트) = 스프링부트가 빌드된 결과에 톰캣 서버를 내장해서 바로할 때 사용한다.
war도 동일하게 위와 같이 되지만, 톰캣 서버를 별도로 설치하고 별도로 war에 빌드해서 넣을 때 사용함!!!
2. 생성된 zip파일을 사용할 폴더에 넣고 압축해제
3. 인텔리제이에서 오픈선택 후 servlet -> build.gradle 오픈!
** 프로젝트가 오픈이 되면 꼭 build.gradle 파일에서 패키징이 war로 되어있는지 확인할 것!
plugins {
id 'org.springframework.boot' version '2.7.2'
id 'io.spring.dependency-management' version '1.0.12.RELEASE'
id 'java'
id 'war'
}
4. ServletApplication.java 실행 후 톰캣이 떴는지 확인
5. localhost:8080 입력 후 접속 whitelabel 페이지 뜨면 성공
6. 인텔리제이 gradle 대신에 자바로 직접 실행하기 위해 -> preferences에서 옵션을 인텔리제이로 변경
7. lombok 라이브러리 설치
마켓플레이스에 플러그인 없어서 구글링해봤더니 인텔리제이 2020.03 버전이후로는 롬복이 기본 플러그인으로 설치되있다고 하여 패스
8. lombok이 정상동작 할 수 있도록 preferences -> build -> complier -> annotation process에서 상단의 enable annotation processing 체크
우앙 세팅 끝 > <!!
수도 없이 스프링,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 할때마다 전체적으론 알면서도 세세한 것 때문에 구글링 했었는데.. 직접 포스팅하니 묘하다 묘해!
나의 자산이 되고 또 누군가에겐 이글이 도움이 되길 바라며 !! 아 물론 강의랑 같이 들으면 더 이해가 잘 갈 것이므로 김영한의 스프링 mvc강의를 추천합니다 ㅋ.ㅋ
@ 스프링 MVC 1편 - 백엔드 웹개발 by 김영한을 참조하고 있습니다.
'Spring > mv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MVC 1] - HttpServletRequest (0) | 2022.08.01 |
---|---|
[Spring MVC 1] - 스프링부트 환경에서 서블릿 등록 후 사용 (0) | 2022.07.30 |
[Spring MVC 1] - HTML, HTTP API, CSR, SSR (0) | 2022.07.29 |
[Spring MVC 1] - 동시 요청 - 멀티 쓰레드 (0) | 2022.07.28 |
[Spring MVC 1] - 서블릿 (0) | 2022.07.27 |